[A+] [아동Nursing ] 아동 선천성 기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1:47
본문
Download : 아동 선천성 기형 아동.hwp
1. 위장관계 기형
① 원위 식도-기관루 형태
: 상․하부의 식도가 분리되어 각각 맹관을 형성, 기관과 교통되지 않고 막힌 상태
③ H형 식도기관루 : 식도가 폐쇄되지 않고 정상적인 식도와 기도 사이에 누공만 형성
2)병태생리
①입이나 코에서 거품이 섞인 다량의 타액 觀察(관찰) ,
1)원인(原因)
→ 위내용물이 기도내로 흡인 : 폐렴, 기관의 공기가 장 내로 유입 : 복부팽만
․저체중 출생아․미숙아에게 많음
․심장 혹은 비뇨기계 기형 동반, 성별 차이 없음
<식도폐색증/식도-기관루>
선천성 기형아동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② 분절형 식도폐색증
: 식도에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발생, 조기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
③ 청진을 통해 기도로부터 위내로 공기가 들어간 것을 확인
태생기 6~8주 식도가 기도에서 분리시 결손이 발생하여 나타난 기형
선천성 기형
: 상부 식도분절이 막혀서 맹관으로 끝나고 하부 분절의 상단이 기관이나 기관지에 누공을 이루며 연결, - 전체 식도 폐색증의 약 85~87%차지
설명
선천성 기형아동에 대한 내용이 정리(整理) 되어 있습니다.
⑤ 근위 및 윈위식도 기관루 : 식도의 상․하부 양쪽의 누공으로 기관과 연결
④ 근위식도 기관루 : 식도의상부가 기관과 연결
․발생 빈도 : 약 2500~3000명 출산아 중 1명으로 추정
순서
레포트 > 의학계열
[아동Nursing ] 아동 선천성 기형
3)진단
Download : 아동 선천성 기형 아동.hwp( 47 )
수유시 기침이나 청색증 및 질식 등과같은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것을 觀察(관찰)
④ 투시 촬영술로 식도로 주입된 방사성 물질은 진단을 용이하게 함





- 약 8%차지
② 카테터를 식도로 삽입시 잘 삽입되지 않으며 저항이 느껴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