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과 제 2 언어습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22:09
본문
Download : 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과 제 2 언어습득.hwp
배우기에 어렵고 많은 언어에 없는 자질은 표가 난다. 즉 성…(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Download : 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과 제 2 언어습득.hwp( 62 )
다. 또 영어를 모국어로 배우는 아이들도 유성음은 무성음 보다 나중에 습득한다.”는 입장의 구조주의 입장과 크게 다르다.
가령 자음의 성음(voicing)은 한국어에서는 변별적 자질이 아니다.
언어학을 언어습득의 측면에서 연구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변형문법 학자들이다.
%EA%B3%BC%20%EC%A0%9C%202%20%EC%96%B8%EC%96%B4%EC%8A%B5%EB%93%9D_hwp_01.gif)
%EA%B3%BC%20%EC%A0%9C%202%20%EC%96%B8%EC%96%B4%EC%8A%B5%EB%93%9D_hwp_02.gif)
%EA%B3%BC%20%EC%A0%9C%202%20%EC%96%B8%EC%96%B4%EC%8A%B5%EB%93%9D_hwp_03.gif)
%EA%B3%BC%20%EC%A0%9C%202%20%EC%96%B8%EC%96%B4%EC%8A%B5%EB%93%9D_hwp_04.gif)
%EA%B3%BC%20%EC%A0%9C%202%20%EC%96%B8%EC%96%B4%EC%8A%B5%EB%93%9D_hwp_05.gif)
레포트/인문사회
보편문법
설명
언어습득의 기본은 언어형식의 습득으로 제 2언어 연구자들이 언어의 자질을 중심으로 보편문법을 가진 제 2언어에 대한 언어습득을 기술한 리포트 입니다. 이들에 의하면 언어규칙이란 자연법의 일부이고 학자들의 관심은 어린아이가 하듯 언어의 규칙을 하나씩 발견해 가는 것이다. 한편 모국어를 배우는 어린아이가 비교적 짧은 기간 안에 무수히 많은 수의 문장을 이해하고 만들어낼 수 있는 언어학적 능력을 습득하는 것은 유한한 수의 규칙을 터득하기 때문인데, 다른 가정環境(환경)이나 지역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 언어권의 어린이가 동일한 언어 규칙을 터득할 수 있는 근거는 그 많은 규칙을 누군가에게서 하나씩 배운 것이 아니라 생득적으로 타고난 기본 지식을 근거로 언어環境(환경)에서 조금 도움을 받아 그 기본 지식이 ‘성장’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영어 등 유럽언어에는 공통적으로 있는 이 자질이 한국어에는 없다.보편문법 , 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과 제 2 언어습득인문사회레포트 ,
보편문법( Universal grammar )과 제 2 언어습득
언어습득의 기본은 언어형식의 습득으로 제 2언어 연구자들이 언어의 자질을 중심으로 보편문법을 가진 제 2언어에 대한 언어습득을 기술한 리포트 입니다. 이런 것을 무표적(unmarked)이라고 부른다.
현재 많은 언어학자들의 관심은 언어의 보편적 자질을 규명하는 데 있다아 보편적 자질은 모든 언어가 공유하는 자질이므로 표가 나지 않고 배우기에 쉽다. 가령 [a]라는 발음은 모든 언어권의 아이들이 제일 먼저 배우고, 성인이 되어 외국어 발음으로서 배울 때에도 어려움이 없다. 언어에 관한 기본지식은 간이나 심장 같은 장기에 비유된다
즉 언어 지식은 태어날 때부터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정신구조의 일부이고, 이 지식은 아이가 어떤 언어를 배우건 기본이 된다 이 발은 다시 말해서 인간의 모든 언어가 기본적인 요소를 공유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즉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가 무수히 많아도 일정한 보편적 자질(universal)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인간 언어의 보편적 자질, 이 자질을 선천적 지식으로 가지고 있다는 주장은 “언어는 모두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