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4 18:25
본문
Download :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hwp
③ 결정적 原因설
결정적 동기가 반조합적 의사-취규 등 불이익 사유에 있었는가로 보는 견해로 판례의 주된 경향으로 볼 수 있따
④ 상당인과관계설
정당 조합활동 사실 없었다면 불이익취급 없었을 것이라 판단시 부당노동행위가 된다는 견해이다.
2. 불이익 취급 原因의 경합
1) 문제의 소재
근로3권 침해행위면서도 사규상 징계사유에 해당하는 겨우 부노성립여부가 문제된다
2) 학설
① 부노성립 부정설
이러한 경우에는 어짜피 징계사유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3) 검토opinion(의견)
객관적 인과관계설이 타당하다고 보이며 이는 내심의사 입증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2. 불이익 취급 原因의 경합
1) 문제의 소재
근로3권 침해행위면서도 사규상 징계사유에 해당하는 겨우 부노성립여부가 문제된다
2) 학설
① 부노성립 부정설
이러한 경우에는 어짜피 징계사유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부당노동행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2) 검토opinion(의견)
① 부당노동행위 여부 판단기준
이러한 부당노동행위 여부는 조합활동과 관련성, 업무상 당위성, 능력 적격성, 승진이 근로자 조합활동에 미치는 effect(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는 그 입증책임이 노조에 있다고 본다.
② 부노성립 긍정설
근로3권 보장활동의 사실이 불이익 취급 原因중 하나라고 인정되면 설사 취규에 정당사유 있더라도 부노에 해당한다는 견해이다.
...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1. 부당노동행위 의사(인과관계) 필요 여부
1) 문제의 소재
노조법 81조 법 규정에는 ~한 것을 이유로라고 규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불이익취급 주관적 의사가 필요한가가 문제된다
2) 학설
① 주관적 인과관계설
반조합적 의도 입증이 필요하다는 견해이다.
② 객관적 인과관계설
직접적 적극적 증거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견해이다.
Download :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hwp( 60 )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순서


설명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법학행정레포트 , 노조법 조 불이익취급 성립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노조법,조,불이익취급,성립,있어서,주요,판단,문제,법학행정,레포트
노조법 81조 불이익취급 성립에 있어서 주요 판단 문제
1. 부당노동행위 의사(인과관계) 필요 여부
1) 문제의 소재
노조법 81조 법 규정에는 ~한 것을 이유로라고 규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불이익취급 주관적 의사가 필요한가가 문제된다
2) 학설
① 주관적 인과관계설
반조합적 의도 입증이 필요하다는 견해이다.
② 객관적 인과관계설
직접적 적극적 증거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견해이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는 그 입증책임이 노조에 있다고 본다.
3) 검토opinion(의견)
객관적 인과관계설이 타당하다고 보이며 이는 내심의사 입증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3. 사용자의 승진조치와 부당노동행위
1) 문제의 소재
노조활동위해 승진 거부했음에도 승진시킨 경우 부당노동행위 성립여부의 문제이다.
② 부당노동행위가 인정되는 경우
노조활동 혐오, 방해의도로 승진한 경우 부당노동행위가 인정된다
③ 부당노동행위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
…(생략(省略))
레포트/법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