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書感想文]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23:10
본문
Download :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hwp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경우에 다른 많은 경우에서처럼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목표(goal)를 증진시키기 위해 보이지 않는 손에 이끌린다는 것이다. 시장이 확대 되면 즉 더 많은 지역이 교역관계를 맺으면 맺을수록 국가의 부는 증가한다는 것이다. 도시도 전문화 혹은 특화 될 수 있다.
경제학자들은 비용· 이익을 정확하게 계산할 줄 모른다고, 단 한사람의 희생도 없이 모두가 공동번영 할 수 있다는 유토피아족 공약에 찬물을 끼얹는 바보 천지들이라고, 우울한 과학 이라는 등 많은 비판을 받는다.
독후감,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곤경에 처한 경제학자들
3. 암울한 예언가, 멜서스
곤경에 처한 경제학자들 경제학자들은 비용· 이익을 정확하게 계산할 줄 모른다고, 단 한사람의 희생도 없이 모두가 공동번영 할 수 있다는 유토피아족 공약에 찬물을 끼얹는 바보 천지들이라고, 우울한 과학 이라는 등 많은 비판을 받는다. 자유 시장에서는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행동으로 사회전체가 번성 할 수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순서
Download :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hwp( 54 )
다.설명
[讀書感想文]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읽고나서
스미스가 그의 역작 <국부론>을 집필 했을 때 상인들은 영국 제도와 7대양을 누비며 전 방위적인 무역을 하고 있었고 인구는 급격히 팽창했으며, 세계 각지에 공급한 물건을 생산하기 위해 소규모 공장들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서기 처음 했다. 그는 세상이 자신의 가르침을 따르기를 원하여 유력인사들을 만나며 자신의 理論을 설득하려 했으며 또 스미스는 죽기 전까지 13년 동안 관세청장을 지냈는데 자유무역을 주장한 경제학자답게 관세정책에 관대했던 그는 국부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스미스는 이 책에서 부를 창출하는 방법을 설명(說明)해줄 인과법칙을 찾아내는데 특별히 집중하였다. 그는 지구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팽창하지만 식량공급은 이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예견 했다. 이 ‘보이지 않는 손’은 애덤 스미스 경제학의 뚜렸한 상징이 된다 ‘보이지 않는 손’은 사회적 조화를 이끌어내는 진정한 지휘자 즉 자유 시장을 상징한다. 물론 모든 경제학자가 단순한 전달자 역할에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작업을 전문화 시키고 세분화함으로써 생산량은 폭증 할 수 있다. 자신의 맡은 일에 숙련도를 높일 수 있고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공구나 기계를 발명할 수도 있으며 작업 전환 시 소요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경제학자가 단순한 전달자 역할에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우리가 모든 것을 한 번에 가질 수는 없다는 것을 말해 줄 뿐이다. <국부론>은 출간되자마자 날개돋친듯이 팔려 나갔다. 당연히 이러한 비판에 대해 경제학자들은 억울하다. 그들은 자신들이 있는 사실을 알리는 단순한 전달자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781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D%9B%84%EA%B0%90%5D%20%EC%A3%BD%EC%9D%80%20%EA%B2%BD%EC%A0%9C%ED%95%99%EC%9E%90%EC%9D%98%20%EC%82%B4%EC%95%84%EC%9E%88%EB%8A%94-7814_01.jpg)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781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D%9B%84%EA%B0%90%5D%20%EC%A3%BD%EC%9D%80%20%EA%B2%BD%EC%A0%9C%ED%95%99%EC%9E%90%EC%9D%98%20%EC%82%B4%EC%95%84%EC%9E%88%EB%8A%94-7814_02_.jpg)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781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D%9B%84%EA%B0%90%5D%20%EC%A3%BD%EC%9D%80%20%EA%B2%BD%EC%A0%9C%ED%95%99%EC%9E%90%EC%9D%98%20%EC%82%B4%EC%95%84%EC%9E%88%EB%8A%94-7814_03_.jpg)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781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D%9B%84%EA%B0%90%5D%20%EC%A3%BD%EC%9D%80%20%EA%B2%BD%EC%A0%9C%ED%95%99%EC%9E%90%EC%9D%98%20%EC%82%B4%EC%95%84%EC%9E%88%EB%8A%94-7814_04_.jpg)
![[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781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D%9B%84%EA%B0%90%5D%20%EC%A3%BD%EC%9D%80%20%EA%B2%BD%EC%A0%9C%ED%95%99%EC%9E%90%EC%9D%98%20%EC%82%B4%EC%95%84%EC%9E%88%EB%8A%94-7814_05_.jpg)
멜서스는 <인구론>으로 알려진 책을 썼다. 인구가 억제되지 않을 경우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하였다. 초판이 암울하고 비관적이었다면 개정판에서는 다소 분위기가 완화되었고 도덕적 자제력을 통해 출산율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展望도 내놓았다. 또 스미스는 ‘노동 분업’이 국가의 부를 증대시킨다고 한다. 멜서스는 인구론이 너무 비관주의 적이라는 생각에 좀 더 완화된 인구론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모든 사람이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한다면 사회 전체가 번영 할 것이라고 선언한다. 당연히 이러한 비판에 대해 경제학자들은 억울하다. 스미스는 모든 사람들을 경제 행위자로 간주한다. 또한 스미스는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의 자연적인 충동을 적극 개발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있는 사실을 알리는 단순한 전달자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것이다 이들은 우리가 모든 것을 한 번에 가질 수는 없다는 것을 말해 줄 뿐이다. 여기서 인간의 자연적인 충동이란 인간은 지금보다 더 잘살고 싶어 한다는 것과 자신이 가진 것을 다른 사람의 것과 교환, 교역, 거래 하고자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