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4 19와 장면정권 / 4.19와 장면내각 3.15 이후 ~ 5.16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07:39
본문
Download : [역사] 4 19와 장면정권.ppt
4.19의 1 차적 의미 = 독재와 반 독재의 싸움이 본격화 II. 장면 정권과 민주 회복의 좌절 장면 정권의 특징 고전적인 서구의 자유 민주주의의 이상에 충실 당론이던 내각 책임제를 관철하여 새로운 정부체제 구성 학생을 필두로 한 민간사회 세력들의 정치참여도 보장 반공과 반 북한의 한계는 지킴 당시 한국 사회의 가장 강력한 두 정치세력 = 학생과 군부 이...
![[역사] 4 19와 장면정권-901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8/%5B%EC%97%AD%EC%82%AC%5D%204%2019%EC%99%80%20%EC%9E%A5%EB%A9%B4%EC%A0%95%EA%B6%8C-9014_01.gif)
![[역사] 4 19와 장면정권-9014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8/%5B%EC%97%AD%EC%82%AC%5D%204%2019%EC%99%80%20%EC%9E%A5%EB%A9%B4%EC%A0%95%EA%B6%8C-9014_02_.gif)
![[역사] 4 19와 장면정권-9014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8/%5B%EC%97%AD%EC%82%AC%5D%204%2019%EC%99%80%20%EC%9E%A5%EB%A9%B4%EC%A0%95%EA%B6%8C-9014_03_.gif)
![[역사] 4 19와 장면정권-9014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8/%5B%EC%97%AD%EC%82%AC%5D%204%2019%EC%99%80%20%EC%9E%A5%EB%A9%B4%EC%A0%95%EA%B6%8C-9014_04_.gif)
![[역사] 4 19와 장면정권-9014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8/%5B%EC%97%AD%EC%82%AC%5D%204%2019%EC%99%80%20%EC%9E%A5%EB%A9%B4%EC%A0%95%EA%B6%8C-9014_05_.gif)
다.
4.19와 장면내각 3.15 이후 ~ 5.16 까지.. 제4대 대통령 선...
설명
[역사] 4 19와 장면정권 / 4.19와 장면내각 3.15 이후 ~ 5.16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역사 4 19와 장면정권 4.19와 장면내각 3.15 이후 ~ 5.16
Download : [역사] 4 19와 장면정권.ppt( 72 )
4.19와 장면내각 3.15 이후 ~ 5.16 까지.. 제4대 대통령 선...
4.19와 장면내각 3.15 이후 ~ 5.16 까지.. 제4대 대통령 선거(3.15 부정 선거) 마산 부정 선거 데모(60.3.15) 4.19 혁명(60.4.19) 교수단 시국 선언(4.25) 이승만 하야(4.26) 허정 과도 정부 수립 제3차 개헌(내각책임제+양원제 개헌, 60.6) 7.29 총선(60.7.29) 윤보선 대통령 취임(60.8) 2공화국 60.8-61.5.16 장면 내각 수립(60.8) 제4차 개헌(소급 특별법개헌, 60.11) 유엔 감시하 남북한 총선거를 통한 평화적 자주 민주 통일안 중립화통일연맹(61,2) 한미경제협정 체결(61.2) 민족자주통일 중앙협의회(61.2) 경제개발5개년 계획 수립 5.16 군사정변(61.5.16) 4.19 민주화 운동의 원인(原因)과 성격 2. 4. 19의 성격 자유민주주의가 이승만의 개인적 통치로 시들어 가던 현실에서 이를 되살릴 기회제공 역사(歷史)상 처음으로 집권자를 교체한 매우 중요한 사건이며, 이후 독재 권력 앞에서 민주화 투쟁이 끊임없이 지속되게 한 원동력. 기성세력이 아닌 학생이 주도. (당시 한국의 정치, 사회적 성숙도 낮음) 이후 이승만 정권을 대체할 민간 정치세력 부재 시위는 즉흥적이었고 돌발적이었으며, 비체계적 비조직적 4.19 주도 세력은 이승만 하야 전이나 후나 체제 전복과 신체제 건설을 위한 사회 혁명, 혹은 정치혁명을 시도하지 않음 4.19는 자유 민주주의를 향한 봉기였다고 할 수도 있으나, 오히려 독재와 부패에 반대한 봉기였다고 하는 편이 더 진실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