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pendence.or.kr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 > independence4 | independence.or.kr shopping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 > independence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independence4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8:42

본문




Download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hwp




『삼국사기』는「본기」,「잡지」,「열전」으로 편제 되어 있고,「잡지」는 제사·악·색복·차기·기용·옥사·지리·직관 등 8항목 9권으로 되어있다아「악지」는 신라악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삼국사기』소재 <신라악>의 성격이 전제되어야 접근할 수 있다아 ‘악’에 관한 김부식의 직접적 언급은 보이지 않지만, ‘악’에 관련된 단편적 기술에서 김부식의 음악에 관한 인식이 어떠하였는가를 추정할 수 있다아 김부식의 음악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는 자료(資料)는『삼국사기』「악지」가 무엇보다 우선한다.
먼저『삼국사기』를 편찬한 김부식의 음악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것은『삼국사기』를 편찬한 김부식의 음악에 관한 인식과『삼국유사』를 편찬한 일연의 음악에 관한 인식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사서의 음악에 관한 차이를 작가의 음악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풀어보면 향가가『삼국사기』에 나타나지 않은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김부식은 당시 존재하던 china측 문헌 중에서도 고구려악이나 백제악을 기록하고 있는 歷史적 기록은「악지」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게다가 악기의 연주와 그에 따른 계보를 자세하게 밝히고 있다아 이것은 김부식이 신라…(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삼국사기』와%20『삼국유사』에%20수록된%20음악의%20차이점_hwp_01.gif 『삼국사기』와%20『삼국유사』에%20수록된%20음악의%20차이점_hwp_02.gif 『삼국사기』와%20『삼국유사』에%20수록된%20음악의%20차이점_hwp_03.gif 『삼국사기』와%20『삼국유사』에%20수록된%20음악의%20차이점_hwp_04.gif




설명
삼국유사의향가


다. 특히 신라악 관련기록에서 신라고유의 악기에 관련된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사정을 말하여 준다.





Download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hwp( 64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에 대한 글입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이렇게 사서의 음악에 관한 기술은 편찬자의 음악에 대한 인식에 의하여 전대 음악이 정리(整理) 된 것이다.삼국유사의향가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인문사회레포트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음악의 차이점에 대한 글입니다. 이는 신라를 歷史의 전통으로 보려는 인식의 결과이다. 그렇기 때문에 『삼국사기』와『삼국유사』의 음악에 대한 내용은 차이가 난다.
문제는 기술태도에 있어 ‘제사’와 ‘악‘을「잡지」의 서두에 편제한 것은 고대 중세사회에서의 통치수단인 ’예‘와 ’악‘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민족신앙과 민족음악을「지」의 서두에 놓음으로써 김부식은 china과 변별되는 민족문화의 독자성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이는 신라중심의 歷史기술태도와 더불어 김부식의 歷史인식을 보여주는 예가 된다된다.
김부식은「악지」를「제사지」에 이어 편제하였다.
전체 25,03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independence.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