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13:07본문
Download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hwp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analysis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따라서 도덕적 판단은 culture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덕적 판단이 개입되는 정서적 경험과 관련된 culture 간, culture 내 차이의 대부분은 그 culture의 도덕적 구조에 기인한다. 이는 자의적 정서가 반성적 기능을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Barrentt는 부끄러움의 행동적 ,사회적, 개인적 기준을 分析하였다.
Download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hwp( 36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analysis
설명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부끄러움최종보고서 , 자 의식적 정서로서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와 심리적 기능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 1.기존 연구의 分析 >
정서 경험의 자 의식적 차원
자 의식적 정서는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상대방이나 자기 자신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경험되는 정서로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기준이 포함된 자기 준거적 과정을 포함한다.
부끄러움의 경험 준거 차원 : 공동체 윤리, 자율성과 사회관습
부끄러움을 느끼는 상황, 즉 경험 준거에 상대하여는 사회적 준거와 개인적 준거로 구분할 수 있다 이것은 도덕적 판단과 관련이 있으며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반드시 지켜야하는 법이나 지키도록 요구되는 윤리, 지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 등을 지키지 못했을 때 일어난다고 하였다.
즉 부끄러움이 지닌 심리적인 기능에는 행동 조절의 기능 , 사회 조절 기능, 자기 조절 기능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관습과 도덕의 문제는 사회적 합의와 개인적 측면이 내포되는 것 이며, 도덕 속에는 공동체 윤리와 개인의 자율의 윤리모두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각 사회에서 어떠한 culture적인 가치가 중요시 되는 지에 따라 도덕적 판단 기준이 달라진다.
< 2. 본 연구의 목적 >
도덕적 판…(생략(省略))
순서
부끄러움최종보고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적 준거나 사회적 준거에 빗대어 부끄러움을 경험을 하게 되면, 자신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해 마음이 불편해지고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를 방어하기 위해서나 혹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자 동기화 되는 것이다. 이는 도덕적 위반 행위를 제지하거나 도덕적 행위를 촉진하기 때문에 도덕적 정서라고도 하며, 개인의 사회화 과정을 통해 발달하고 대인관계 맥락에서 경험되어진다.
또한 culture권에 따라서도 도덕적 판단이 개입되는 부끄러움의 경험적 준거는 학자들마다 다른 주장을 나타낸다.